창의성을 키우는 교육법

홈 > 공지사항 > 꿀팁
꿀팁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법

27 폴라리스 0 206 0 0


1. 생활 속에서 많은 실패를 경험할 기회를 주어라.



 계획표 세우기, 입을 옷 결정하기, 교육기관 선택하기, 간식 고르기, 문제나 갈등 해결하기 등등 아이가 생활에서 직면하는 각종 선택과 결정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허용한다. 아이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여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연습을 시키다 보면, 자연스럽게 많은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가운데 실패를 경험해 보지 못한 아이는 창의성 발현에 핵심인 도전의식을 키워나갈 수가 없다. 물론 부모는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조언을 해 주어야 한다. 다만 조언은 조언일 뿐, 최종 결정자는 아이가 되는 상황을 조성한다.



 



2. 정답은 없는 질문을 하고, 답을 강조하지 마라.



 ‘2 더하기2’는 정답이 있는 질문이지만 네가 신데렐라라면 어떻게 할까?’는 정답이 없다. 너와 나의 답이 공존할 수 있는 질문이다. 후자의 정답이 없는 질문을 자주 해준다. 질문하여 아이가 생각해 보는 것만으로도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표현을 강요하지 말고, 잠시 기다렸다가 부모님 자신의 답변을 들려주는 것도 좋다. 부모라고 해서 늘 모범답안, 최고의 답안을 제시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자연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아이에게 들려준다.



 



3. 독창적인 시도에 대해서는 그 결과물과 관계없이 칭찬하고 격려해주자.



 아이들의 창의성은 아직 발달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그 결과물이 유치하거나 보잘 것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창의적 능력은 지속적인 확장과정을 거쳐 최고의 수준으로 발달되어 간다. 따라서 아이의 독창석 시도를 무시하거나 나무라기보다는 아낌없이 칭찬하고 격려해 주는 부모의 태도가 필요하다.



 



4.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해석을 제공하라.



 아이가 실수 또는 실패를 했거나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상황을 바라보고 해석하도록 노력한다. 가령, 물을 엎질렀을 때 화를 내거나 야단치기 보다는, 걸레로 닦는 방법 이외의 방법을 함께 생각해 보거나 엎지른 김에 물 위에서 미끄럼을 타보는 등 긍정적이고 유머가 있는 반응을 보인다. 아이에게 충고는 엄마도 실수를 많이 하지만, 그래도 다음부터는 조금 더 조심해 보자 정도로 햐두눈 곳으로 만족한다.


0 Comments
통계
  • 현재 접속자 1,034(1) 명
  • 오늘 방문자 2,561 명
  • 어제 방문자 7,736 명
  • 최대 방문자 14,757 명
  • 전체 방문자 2,321,560 명
  • 전체 게시물 46,509 개
  • 전체 댓글수 5,249 개
  • 전체 회원수 1,24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