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 유래와 먹는 이유

홈 > 공지사항 > 꿀팁
꿀팁

떡국 유래와 먹는 이유

27 폴라리스 0 159 0 0

상당수 설날 전통의 명맥이 끊어졌지만 설날에 떡국 먹는 풍습은 지금도 이어진다.

설날엔 모든 것이 새로 시작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자 맑은 물에 흰 떡을 넣어 끓인 떡국을 먹었다고 한다. 흰색은 근엄함, 청결함을 나타내 좋지 않았던 지난해 일들을 깨끗이 씻어낸다는 의미다.

설날 떡국을 언제부터 먹었을까? 학계에서는 삼국시대 전부터 신년에 제사를 지낼 때 먹던 음식으로 추정하다.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에서 "우리 민족이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은 상고시대 이래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기록에서의 오늘날 떡국의 모습은 18세기 조선시대 중후엽부터 나온다.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담은 '열양세시기', '동국세시기', '경도잡지'에 등장한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떡국은 '흰 가래떡을 넣고 끓인 탕'이란 의미로 '백탕', 가래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고 해서 '병탕'이라고 했다.

떡국에 쓰는 떡은 길게 뽑은 가래떡이고 이를 둥글게 잘라 만든다. 길게 뽑은 하얀 가래떡은 장수와 집안의 번창을 의미한다. 이른바 무병장수하란 뜻이 담겼다. 가래떡의 길이는 집안에 재물이 죽죽 늘어나는 것을 뜻한다.

또 둥글게 썬 가래떡의 모양이 옛날 화폐인 엽전(동전)을 닮아 이를 먹으면서 새해에 경제적인 풍요를 기원했다. 긴 가래떡을 동그란 엽전 모양으로 썰어 엽전이 불어나듯 재산도 불어나길 바랐고, 또 엽전 모양의 떡국을 먹으면서 재물이 풍족해지길 기원했다.

이처럼 우리의 설날 국은 단명과 굶주림에 시달렸던 조상들의 간절한 새해 소망이 담긴 음식이라고 해도 되겠다.

요즘엔 떡국 국물을 우려내는 재료로 소고기가 쓰이지만 예전엔 꿩고기를 넣었다. 꿩고기는 귀한 음식으로 설날이 아니면 먹기가 힘들었다. 꿩은 예전엔 산과 들에 나가면 요즘보다 흔했을 건데 비쌌던 모양이다. 꿩고기를 구하지 못하면 닭고기를 대신 넣는다. ‘꿩 대신 닭’ 속담이 여기서 나왔다.

‘설날 떡국 한 그릇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이 있다. 설날 먹는 떡국은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해서 ‘첨세병’(添歲餠)이라고 불렀다. 열양세시기에 따르면 우리 조상들은 새배를 온 애들에게 몇 살인지 물어보는 대신 ‘떡국을 몇 그릇 먹었냐’고 물었다. 이런 말 때문인지 어릴 땐 빨리 어른이 되고싶어 두 그릇씩 먹던 기억도 있다.

중국과 일본도 우리와 같이 설을 쇤다. 중국에서는 쌀로 만든 경단을 국물에 넣은 '탕위엔'을 먹는다. 일본은 신정(양력 1월 1일)에 국물에 찹쌀떡을 넣은 '오조니'를 먹는다. 어느 음식 평론가가 최근 우리의 떡국 기원이 국물에 떡을 넣은 것이라고 한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설에 온 가족이 둘러앉아 먹는 떡국 한 그릇에는 이 처럼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소망이 담겨 있다. 설날에는 '떡국차례'라 하여 밥 대신 떡국을 올려 차례를 지내고 이를 음복(飮福)했다. 음복은 '복을 먹는다'는 뜻으로 제사를 마치고 가족들이 모여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을 말한다. 왕실이나 양반, 서민 할 것 없이 이 풍습은 같았다고 한다. 지금도 풍습은 같다.

0 Comments
통계
  • 현재 접속자 906 명
  • 오늘 방문자 5,474 명
  • 어제 방문자 7,708 명
  • 최대 방문자 14,757 명
  • 전체 방문자 2,388,073 명
  • 전체 게시물 46,516 개
  • 전체 댓글수 5,249 개
  • 전체 회원수 1,24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