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과 정치

홈 > 공지사항 > 꿀팁
꿀팁

예능과 정치

27 폴라리스 0 203 0 0

1997년 김대중 당시 국민회의 총재가 TV 예능에 출연했다. 노타이 차림으로 나와 “나는 알부남(알고 보면 부드러운 남자)이 아니고 본부남(본래 부드러운 남자)”이라 했다. 부인 이희호 여사가 전화로 연결되자 “당신, 사랑해요”라고도 했다. 사별한 첫 부인 차용애 여사를 언급할 땐 “고생만 시켜 굉장히 가슴 아프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예능 출연 효과는 컸다. 단숨에 지지율이 3~4%p 올랐다. 정치인 예능 출연이 그때 본격화됐다고 한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에겐 정치 등용문이 예능이었다. 2009년 ‘무릎팍도사’ 출연을 계기로 벤처 기업인에서 정치인으로 변신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이던 2003년 ‘느낌표’에 출연해 청소년이 읽을 책을 권했다. 재직 중 예능에 나온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2012년 대선에 출마한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는 ‘힐링캠프’에서도 맞붙었다.

▶정치인들은 예능 출연의 효과로 인지도 확산과 이미지 제고를 꼽는다. 이재명 전 경기지사가 성남시장이던 2017년 ‘동상이몽’에 고정 멤버로 11회나 출연하자 특혜 시비가 일었다. 이낙연·박원순·오세훈·원희룡·홍준표·나경원·박영선 등 정치인들도 예능 출연 경력을 갖고 있다. 각종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지난 대선에선 후보들이 유튜브 예능에서 개인기 대결을 펼쳤다. 시청률 오른다고 방송들도 정치 예능을 좋아한다. 박근혜·문재인 후보가 출연한 예능은 동 시간대 1위를 찍었다.

▶윤석열 당선인이 20일 역대 당선인 신분으론 처음으로 예능에 출연했다. “숙면이 안 된다”며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고 토로했다. 시청률은 높지 않았다고 한다. 후보 시절 예능에 나왔을 때는 ‘계란말이’ 특기가 히트를 쳤지만 이번엔 그런 대박 상품은 없었다는 평가다.

▶윤 당선인 예능 방송이 나가자 돌연 문재인 청와대가 “지난해 문 대통령의 예능 출연을 해당 방송에 문의했다가 거절당했다. 제작진 의사를 존중해 더 이상 요청하지 않았다”고 끼어들었다. 자신들도 예능에 나가고 싶었지만 밀어붙이진 않았다는 것이다. 문 정권은 온갖 수단을 동원해 5년 내내 방송을 정권 응원단으로 만들었다. 그 방송을 통해 국정을 TV 쇼로 만들었다. ‘대통령과 국민 간 대화’는 각본에 따른 예능이나 다를 게 없었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탄소 중립을 선언할 때는 공영방송에 컬러 화면 아닌 흑백 화면을 내보내게 했다. 예능 좋아하던 문 대통령이 임기 말에 다른 사람의 예능을 보고 심사가 편치 않았던 것일까. - 김태훈
 

0 Comments
통계
  • 현재 접속자 920 명
  • 오늘 방문자 4,517 명
  • 어제 방문자 7,708 명
  • 최대 방문자 14,757 명
  • 전체 방문자 2,387,116 명
  • 전체 게시물 46,516 개
  • 전체 댓글수 5,249 개
  • 전체 회원수 1,24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