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급증한 3040 남성, '이런' 공통점 있었다.
다이어트 열풍이 불고 있지만, 성인 남성이 비만율이 매년 2%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 남성 비만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각해졌음이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이 최근 발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를 보면, 만 19세 이상 성인 남자는 2008년 이후 매년 비만(체질량지수(BMI) 25kg/m²이상) 유병률이 2.1%씩 증가하고 있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BMI 30kg/m² 이상인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더욱 높다.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매년 6.3% 증가했다.
코로나 유행 후 비만 유병률은 더욱 증가했다. 30~39세 남성 비만 유병률은 코로나 유행 전(2018~2019년) 48.9%였는데, 코로나 유행 후(2020~2021)년 54.9%로 6% 증가했다. 같은 기간 2단계 이상 비만은 9.3%에서 12.8%로 늘었다. 또한 40~49세 남성 비만 유병률은 46.2%에서 54.2%로 8%, 2단계 이상 비만은 7.2%에서 10.7%로 3.5% 상승했다.
비만 남성은 공통점이 있었다. 전 연령에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고위험 음주라는 공통점이 발견됐다. 비만에 영향을 주는 추가요인은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19~39세는 흡연, 근력 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 운동 미실천, 지방 과잉 섭취,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8시간 초과 등이 비만에 영향을 줬다.
반면, 성인 여성의 비만율은 남성과 비교하면 큰 변화가 없었다.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만 매년 3.1% 증가했다. 코로나 유행 전후 비만율도 남성과 다르게 전 연령에서 차이가 없었다.
비만 여성의 공통점은 남성과 정반대였다. 비만 여성의 공통점은 낮은 교육과 소득수준이었다. 나이에 따라 비만에 영향을 주는 추가 요인도 차이가 있었다.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 음주, 근력 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 질, 60대 이상은 근력 운동 미실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8시간 초과 등이 추가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
질병청은 비만을 개선하기 위해선 생활 습관 변경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질병청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며,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 미실천, 식생활 불균형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선 술은 될 수 있으면 마시지 않아야 하며, 운동은 매일 30분 이상 규칙적으로 하는 게 좋다. 규칙적인 운동은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최신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에서는 주 5일, 하루 30분 이상 빠르게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체조 등의 유산소 운동과 적절한 근력 운동을 권고한다. 또한 음식은 적당량을 규칙적으로, 골고루, 짜지 않게 먹어야 한다. 권고 식품군은 통곡물, 채소, 콩, 생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