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친이 남긴 100억 현금보, 못준다는 은행에 '화병'

홈 > 커뮤니티 > 핫이슈
핫이슈

부친이 남긴 100억 현금보, 못준다는 은행에 '화병'

32 조력자 0 129 0 0

3553706557_fvj8ZrdA_52f67ccf775da781e307bc42e3124afcba5e4442.jpg

70대 노인이 100억원 가치로 추정되는 부친의 현금보관증을 들고 수십년간 은행 문턱을 넘고 있으나 돈을 찾지 못해 정부 당국에 도움을 호소하고 있다.

경상북도 예천군에 사는 김규정(79)씨는 부친이 1946년 조흥은행에 일본 돈 1만2천220엔을 맡긴 후 발급받은 현금보관증을 40년째 목숨처럼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

그의 부친인 고 김주식씨는 14살이던 1910년 일본으로 건너가 막노동 등을 하며 한푼두푼 모아 35년만인 1945년 해방과 동시에 귀국했다.

김주식씨는 당시로 거액이던 돈을 집안에 보관해두기 어려워 조흥은행 예천군의 지점을 찾아 맡기고 현금보관증을 받았다.

김씨가 맡긴 돈의 가치는 정확히 산정하기 어렵지만 당시 환율과 물가 상승, 화폐개혁 등을 고려할 때 현재 가치로 40억~70억원으로 평가되며 76년간의 은행 이자까지 합하면 100억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추산된다. 가치 산정의 기준이 되는 쌀값의 경우 경기미 1등품 한 가마(80kg)가 1946년 3.86원에서 올해 22만1천520원으로 5만7천389배 올랐다.

김씨는 그러나 상당 시간이 흐른 후 현금보관증을 들고 조흥은행을 다시 방문했지만 맡겨둔 돈을 찾지 못했다. 한국전쟁이 터져 많은 자료가 유실된 데다 건국 초기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웠던 탓에 금융시스템도 미비했고 은행에서 차일피일 출금을 미뤘다고 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내부적으로 최선을 다해 자료들을 찾아봤고 금융 당국에도 알아봤다. 은행 직인과 지점장 이름, 계좌 등을 다 조사해봤지만, 현금보관증의 진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지금으로서는 도와드릴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0 Comments
카테고리
통계
  • 현재 접속자 765 명
  • 오늘 방문자 7,465 명
  • 어제 방문자 7,158 명
  • 최대 방문자 14,757 명
  • 전체 방문자 2,170,189 명
  • 전체 게시물 46,472 개
  • 전체 댓글수 5,249 개
  • 전체 회원수 1,24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