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증상없는 이유

홈 > 공지사항 > 생활건강
생활건강

폐렴 증상없는 이유

27 폴라리스 0 275 0 0

폐렴은 폐의 세기관지 끝에 달린 폐포(공기주머니)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보통 세균·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호흡기계 방어력이 떨어지거나 감기나 독감 등에 걸리면 폐렴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진다.

노인에게 폐렴이 발생하면 치료를 받아도 건강한 성인과 달리 악화되기 쉽다.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노인의 경우 대부분 폐 기능과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기존에 앓고 있던 당뇨병, 심장병 등 만성질환이 폐렴에 의해 악화될 수도 있다.

면역력이 낮다보니, 폐를 둘러싸는 막에 염증이 생기는 ‘흉막염’과 전신에 염증이 퍼지는 ‘패혈증’, ‘호흡곤란증후군’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길 위험 또한 높다.

문제는 노인은 기침·가래·발열 등 폐렴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폐렴에 걸리면 폐에 세균이 침투하면서 이를 밖으로 빼내려는 몸의 반사작용으로 기침이 많아지며, 폐 속에서 세균과 세균을 없애기 위해 모인 백혈구가 뒤엉켜 생긴 찌꺼기가 가래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발열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백혈구의 수가 줄고 활동성이 떨어지다보니, 세균이 폐에 들어와도 이를 막기 위해 모이는 백혈구 수가 적고, 가래 양도 줄어든다. 가래가 줄면 자연스럽게 기침을 적게 하고, 열도 잘 안 생긴다.

때문에 노인 폐렴을 의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폐렴 증상 외에도 평소와 달라진 모습들을 잘 살펴야 한다. 갑작스럽게 무기력해지는 경우, 의식이 반복해서 흐려지는 경우, 미열·기침·가래 증상이 있는 경우 폐렴을 의심해야 한다.

몸 속 염증으로 인해 식욕과 음식 섭취량이 줄고 혈압이 떨어질 수도 있다. 문진과 흉부 X-선 촬영, 가래·혈액 검사 등을 통해 폐렴으로 진단되면 대부분 항생제 치료를 실시한다. 바이러스성 폐렴의 경우 항바이러스 치료를 고려하며, 증상에 따라 진해제, 해열제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면역력을 유지·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분한 수분·영양 섭취와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며, 과로·음주·흡연 모두 삼가야 한다.

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손을 자주 씻고, 적절한 실내 온도·습도를 유지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맞고 65세 이상이나 기타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도록 한다.

0 Comments
통계
  • 현재 접속자 1,088 명
  • 오늘 방문자 687 명
  • 어제 방문자 7,858 명
  • 최대 방문자 14,757 명
  • 전체 방문자 2,359,497 명
  • 전체 게시물 46,513 개
  • 전체 댓글수 5,249 개
  • 전체 회원수 1,24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